About KNN
News
Research
Tools
Data Display
DM & Monitoring
QI
연구 정보
KNN 연구 요약서
Title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ment in VLBW |
---|---|
Author | 이현주, 안자혜, 김창렬, 황제균 |
작성자 | 김창렬 |
Background | 최근 고위험산모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미숙아의 출생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며 미숙아 중 극소 저체중 신생아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인지, 운동, 언어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 외에 청력신경 손상과 관련된 국내 추적 관찰 연구는 조명된 바가 많지 않다. 특히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 청각은 언어 능력과 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발달 상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 보건복지부의 2019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신생아 1000명당 1.5~6명, 고위험군 신생아의 1000명당 13명이라는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장애이다. 선천적으로 청각에 이상이 있는 미숙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고 이에 대한 보고도 많지 않다. 신생아의 청각 이상은 생후 6~12개월 사이에 발견되어 재활 및 치료가 시작되는 시기는 생후 17~22개월에 시작하기 때문에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또한 힘든 실정이다. Pediatrics 2018 보고에 따르면 미숙아의 청력손상은 2%에 해당하며 visual imapairment 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 특히, very preterm infant subgroup에서 neuroseonsory disability와 연관하여 미숙아의 청력손실과 시력이상의 위험요인으로 출생주수와 뇌손상의 위험요소가 공존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들을 대상으로 청각장애의 원인이 되는 여러 임상인자 및 위험인자를 탐색하여 조기 개입을 위한 바이오마커(Biomarker)를 발견하고, 청각 기능의 이상에 대한 위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
Aim / Hypothesis | KNN데이터를 활용하여, 1. 미숙아의 hearing loss 유병률 조사 2. 미숙아의 hearing impairment에 영향을 미치는 risk factor탐색 및 상관성 분석 |
Inclusion Criteria | VLBW were born at Jan 2013 to Dec 2020 |
Exclusion Criteria | 1. death before discharge 2. Chromosome anomaly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1. No hearing impairment vs hearing impairment 2. Risk factor analysis with hearing impairment KNN 진단 코드를 이용하여 미숙아의 hearing impairment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biomarker를 탐색한다. 교차분석을 통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살펴보고 독립성검정을 위해서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다. 연속형 변수의 경우 평균 비교를 위해 이표본 독립 t검정 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한다. Multivariate regression 분석을 통해 위험인자의 모델 분석을 실시한다. |
Primary Outcomes | 1. 미숙아의 출생 주수별 hearing impairment 유무와 risk factor 분석 2. 3가지 시점 (신생아기, 18개월, 3세)에 따른 청력검사 이상의 차이 분석 2. hearing imapairment 종류에 따른 hearing outcome subgroup 분석 (양측성, 일측성, 청력보조기 사용)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1. study period를 나누어 hearing impairment의 trend 분석 2. 미숙아 morbidity와 연관하여 청력 손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 뇌출혈, 패혈증(항생제), PDA 분석 3. neurosensory impairment (ROP / hearing impairment)와 뇌성마비 유병률 분석 4. neurosensory impairment와 neurodevelopmental outcome 연관 분석 |
Protocols | Prospective study design |
Funding | none |